▲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국민 개표방송 행사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국민 개표방송 행사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며 국가 경제 사령탑을 책임질 인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먹사니즘’을 내세우며 민생경제 안정과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강조해온 만큼, 관련 인사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의 경제팀을 이끌 수장 자리를 두고 정책과 실무 능력을 두루 갖춘 관료 출신과 정치권 인사 등 다양한 인물이 거론되고 있다.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으로는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거론되고 있다.

이 전 정책실장은 기재부에서 경제정책국과 정책조정국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아온 인물로, 청와대 일자리기획비서관, 기재부 1차관, 청와대 경제수석 등을 역임하며 세제와 정책 전반에 풍부한 경험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울러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과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 등도 후보군으로 꼽힌다. 구윤철 전 실장은 예산실장과 기재2차관 등을 역임한 예산통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범부처 정책조정을 총괄하기도 했다.
 
김용범 전 차관은 은행과 증권 등 다양한 자본시장에서 경험을 쌓아온 인물로, 특히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가상자산 부문에도 정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치권에서는 정성호,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도 거론
 
정성호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로,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 국가인재위원장을 맡아 외부 인재 영입을 주도했다.

김태년 의원의 문재인 정부 당시 인수위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자문위 부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정책통으로 평가받는다.
 
한편,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인 만큼, 금융 사령탑을 맡게될 인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금융권과 정치권에서는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로는 도규상 삼정KPMG경제연구원장이 있다. 도 원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으며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 등 핵심 요직을 역임했다.
 
현재 이 대통령이 기재부와 금융위 개편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인 만큼, 경제와 금융 조직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도 원장이 차기 금융위 수장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와 함께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이 대통령이 국내 증시와 관련해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한 만큼, 자본시장에서의 역량을 보유한 홍 최고위원이 중용될 가능성도 언급된다.
 
홍 위원은 과거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과 최고경영자(CEO)를 거친 경제금융정책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지난 21대 총선 당시 민주당 영입 인재로 세종갑 지역구에 전략 공천으로 당선됐으며 21대 국회에서 정무위원회 간사를 맡기도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