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5년 5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46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말과 비교해 7000만달러 감소한 것으로, 두 달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며 지난 2020년 4월(4039억8000만달러)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외환보유액은 감소의 요인으로는 외화예수금 축소와 외환당국의 달러 매도,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등이 꼽힌다. 앞서 외환당국은 지난해 12월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기존 500억달러에서 650억달러로 확대했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 감소에 대해 “운용수익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등에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자산별로 살펴보면, 외환보유액 구성 중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국채 및 정부 기관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전월 대비 34억8000만달러 증가한 3599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예치금은 같은 기간 35억5000만달러 감소한 196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특별인출권(SDR)의 경우 전월 보다 1000만달러 증가한 156억80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IMF포지션은 44억6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1000만달러 감소했다. 금은 47억9000만달러로 직전월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주요국과 비교해 4월 기준 4047억원으로, 10위를 기록했다. 앞서 지난 3월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독일과 홍콩에 밀려 2000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9위 자리를 내줬다.
주요국 중에서는 중국이 3조2817억달러를 보유하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일본 1조2982억달러, 스위스 9797억달러, 인도 6884억달러, 러시아 6803억달러 등으로 뒤를 이었다.
김영웅 한은 국제국 외환회계팀 과장은 “국민연금 스와프도 일부 영향이 있었으나, 주로 운용수익 증가에도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영향이 컸다”며 “홍콩과의 차이는 크지 않고 비슷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