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6·3 조기 대선에서의 승리로 들어선 이재명 정부가 주주 친화적 정책을 추진하면서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한국 주식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Bloomberg)에 따르면, 애버딘 인베스트먼트와 프랭클린 템플턴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최근 한국 주식에 대한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촉발한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6개월간 이어진 정치 혼란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기업 지배구조와 시장 수익률 개선을 공약으로 내세운 데 힘 입어 이러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12억 달러 규모의 아시아(일본 제외) 펀드를 운용 중인 애버딘 인베스트먼트의 아시아 태평양 주식 부문 부대표 프룩사 이암통통은 “변화의 초기 징후(early signs of change)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지난달 한국 주식 비중을 ‘비중 확대’(오버웨이트)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와 한국 기업들의 이러한 공동 노력이 한국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주주 가치에 더 큰 관심을 갖는 문화를 조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봤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한국 경제는 ‘재벌’로 알려진 가족 경영 대기업이 지배하고 있으며, 이들은 소액주주의 권리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종종 국내 주식 가격을 장부가보다 낮게 책정하고 해외 경쟁사보다 낮게 책정하는데, 이를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한다”며 새 정부의 상법 개정이 현실화하면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의 초기 과제 중 하나는 기업 자체뿐 아니라 주주에 대한 이사회의 신탁 의무를 확대하기 위해 상법 개정을 통해 ‘고무도장’(기계적으로 인가하는) 이사를 근절하는 것”이라며 “개정은 주로 재벌 대기업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은 경제와 상장 기업의 경영진 및 이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對)미 관세 인상 가능성과 경기 위축, 뿌리 깊은 양극화 등 국가 전망을 어둡게 하는 여러 문제는 새 정부의 과제로 짚었다.
 
페더레이티드 허머스의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이자 아시아(일본 제외) 부문 대표인 조너선 파인즈는 매체에 “낮은 가치평가와 시장 환경이 계속 개선되기를 기대하며 한국 주식에 대한 비중을 상당히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