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Reuters)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법안 서명식에서 “나는 우리 자동차 노동자들을 더 보호하기 위해 모든 외국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다”며 “그리 머지않은 미래(in the not too distant future)에 그 관세를 (더)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에 더 많이 투자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더 높을수록 그들(외국 자동차 메이커 등)이 이곳에 공장을 지을 가능성이 커진다”고 주장했다.
현재 미국 행정부는 지난 4월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미 25% 자동차 관세가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에 타격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자동차 관세를 올릴 경우, 그만큼 한국 자동차 업계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2기 출범 이후 25%로 책정해 부과하던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를 지난 4일부로 50%로 인상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캘리포니아주가 오는 2035년부터 시행 예정인 사실상의 전기차 의무화 조치를 폐지하는 결의안에 서명하면서 행한 연설에서 이 같은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성을 거론했다.
또 감세 등 국정 어젠다를 담은 법안에 대한 이견 속에 자신과 심각한 공개 갈등을 빚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전기차에 대해 논의한 적이 있다고 밝힌 뒤 “나는 테슬라를 좋아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특히 그는 이스라엘의 대이란 공습으로 어두워진 중동 정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대이란 공격 가능성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임박했다(imminent)고 말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것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큰 일로 보인다(could very well happen)”고 답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이란 간에 진행 중인 핵 협상에 대해 “우리는 매우 좋은 합의에 상당히 가까이 와 있다”며 “나는 그들(이스라엘)이 들어가는 것(대이란 공격)을 원치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합의를 날려버릴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중재 외교의 답보 상황을 두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 모두에 “실망했다”며 쓴소리도 내뱉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