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6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구매력 평가(PPP) 고려 물가 수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우리나라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가격 수준은 147로 나타났다. 이는 OECD 평균(100) 대비 47% 높다는 의미다.
PPP 고려 물가 수준은 국가 간 물가 비교가 가능토록 경제 규모, 환율 등 변수를 구매력 기준으로 보정한다. 이에 실제 각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체감 물가 수준의 비교가 가능하다.
특히 한국의 수준은 OECD 회원국 중 스위스(163) 다음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본(126), 독일(107), 미국(94), 영국(89) 등 주요 선진국들 역시 우리나라보다 음식료품 물가 수준이 낮았다.
또한 우리나라의 의복 및 신발 물가지수가 137, 교육이 110을 기록하며 평균을 상회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적인 물가보다 음식과 옷 등 기본적 생활 필요 품목의 물가가 높은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여러 품목을 포괄하는 가계 최종 소비(HFC) 물가는 평균보다 낮은 85를 기록했으며 교통, 문화·여가, 외식, 주거 물가 등에서도 평균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먹거리 물가의 고공행진은 국내 통계에서도 확인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가공식품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1% 올랐으며 외식서비스는 같은 기간 3.2% 상승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1.9%를 크게 상회했다.
또한 지난달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는 124.56(2020=100)으로 지난 2020년 대비 약 25% 가량 뛰었는데,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6%)의 약 1.5배에 달했다.
특히 김밥이 해당 기간 38% 오르고 햄버거, 짜장면, 라면 등 일부 품목에서는 3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20% 이상 상승 품목도 30개에 달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이번 여름 무더위로 인한 농산물 가격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 농산물 가격이 물가를 재차 자극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여름 배추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8.8%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생산량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이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 이재명 정부는 출범 후 최우선 민생 과제로 ‘먹거리 물가 안정’을 내세우고 있어 이에 대한 정부 대책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9일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라면 한 개의 값이 정말 2000원이냐’고 물은 뒤 물가 안정 현황 및 대책에 대한 보고를 주문한 바 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제1차관 또한 ‘물가관계차관회의’ 자리에서 “지난 수년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 수준이 높고 먹거리 물가 등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이 지속돼 서민·중산층에 큰 부담”이라며 “물가는 민생의 최우선 과제로 범부처 역량을 총동원해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역시 지난 13일 ‘밥상 물가안정 경청 간담회’를 주재하고 식품·외식 업계 및 전문가와 물가 안정에 관해서 언급했다.
김 후보자는 “생활 물가 문제는 여야도 없고 대선의 승패도 없고 보수 진보가 없는 문제”라며 “유통 과정이 불분명하거나 불투명한 품목들에 대해서는 거래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과거처럼 기업의 판매가를 가격 규제 형식으로 막 내리누를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기업을 포함한 제3섹터가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에 대해 처음부터 고민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