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 입학식이 온라인으로 개최된 2일 오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정문에서 입학생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서울대학교 입학식이 온라인으로 개최된 2일 오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정문에서 입학생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서울대 교수들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가장 필요한 리더십은 통합과 포용이라면서 “어떤 정책보다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는 국민 통합”이라고 제언했다.

강원택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은 17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우석경제관에서 ‘성공하는 대통령의 길, 새정부에 대한 제언’이라는 제목의 연구 발표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강 워장은 이어 “대선에서 이 대통령을 선택하지 않은 유권자가 절반 정도”라며 “이 대통령이 먼저 해야 할 일은 그를 불안하고 불편하게 생각했던 이들에게 다가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헌적인 계엄 선포라는 헌정질서를 위협한 사건은 철저히 수사해야 하고 관계자는 처벌받아야 마땅하다”면서도 “국정 중심이 과거 응징에 쏠려선 안 된다. 사건 처리를 두고 정치보복의 인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정기획위원회를 향해서는 “새로운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소위 100대 국정과제 식으로 정책 공약을 선정해 발표해왔는데 이런 일은 하지 않는 게 좋다”고 했다.

그는 “예컨대 박근혜 정부는 140대, 문재인 정부는 100대, 윤석열 정부는 120대 국정과제를 제시했는데 상당수는 깊이 있는 정책 검토나 부처 간 조율 없이 선거 캠프의 공약이 그대로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특히 강 원장은 여대야소 지형에서 야당과의 소통과 협력을 강조하며 “야당 시절과 달리 일방주의적 권력 행사는 조심해야 한다. 선거에 이겼으니 모든 것을 결정하는 식으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진수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도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 공약했던 지역거점국립대 투자와 육성을 통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과 관련해 “핵심은 재정지원에 더해 서울대의 교육, 연구, 행정 등 소프트웨어가 각 거점 국립대학에 함께 공유되고 이식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 대학의 육성과 동시에 서울대의 양적, 공간적 확장이 병행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조건으로는 정주 여건 확충을 꼽았다.

이 교수는 “정주 여건 제공에 있어서는 대학 교육보다 초중고 교육여건이 더 중요할 수 있다”며 “부모들에게 강남이나 대치동으로 가지 않아도 된다는 믿음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