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9일 한국은행의 ‘최근 주요국 물가상황과 미국 관세정책의 향후 물가 파급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관세의 물가 파급효과는 관세에 대한 대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관측됐다.
먼저 미국 관세에 관세로 맞대응 할 경우 수입물가 상승의 직접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캐나다의 경우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지난 4월 경기위축 우려에 1.7%까지 낮아졌으나 관세 부과로 인해 자동차 등 일부 상품 가격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실제로 캐나다 중앙은행의 4월 통화정책보고서에 따르면, 무역분쟁 장기화시 보복관세 영향 확대로 2026년 CPI 상승률이 올해 1월 전망이었던 2.1%에서 2.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국의 경우 미국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낮고 내수 경기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어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공급과잉 심화가 물가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됐다.
우리나라와 같이 미국 관세에 유보적인 경우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낮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제기됐다.
한은은 “관세 대응에 유보적인 기타교역국은 미 관세정책이 마이너스 수요충격으로 작용해 인플레이션을 낮출 가능성이 크다”며 “우리나라‧일본과 같이 미·중 모두에 대한 수출 비중이 높은 나라의 경우, 수요 부진과 원자재 가격 하락의 물가 하방압력이 우세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중국의 대미수출 감소로 인한 중국산 저가 공산품이 우리나라 등으로 수출 방향이 바뀔 경우 추가적인 물가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트럼프 1기 중 관세부과 품목이 미국에서 인도, 한국, 유럽연합(EU), 아세안으로 수출이 전환되자 해당국의 수출단가 하락으로 이어진 바 있다.
한은의 모형분석 결과, 대중 수입단가 변동률이 10%포인트(p) 하락할 경우 이후 1년에 걸쳐 우리 근원물가 상승률은 0.3%p 가량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기타교역국의 경우에도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공급부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환율 상승 등이 물가 상방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하면서, 미국 관세정책이 우리 인플레이션에 미칠 전반적 영향의 정확한 가늠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한은은 보고서에서 미국 내 물가 파급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은은 미국 관세정책이 수입 최종재를 통해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고 수입 중간재를 통해 기업 생산비용을 높여 물가에 영향을 줘, 소비자물가를 올해와 내년 각각 0.4%p, 0.3%p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자본재 가격도 미국 내 수입의존도가 38%에 달하고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어 인플레이션 지속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 발언에서도 확인됐다.
파월 의장은 18일(현지시간)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 “관세가 유통망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앞으로 몇 달 동안 더 많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아는 모든 사람들은 관세로 인해 향후 몇 달 동안 물가가 상당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제조업자나 수출·수입업자, 소매업자, 소비자 등 유통망에 속한 누군가가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앞으로 미 관세정책이 주요국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기에 각국 중앙은행의 정책 대응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다”며 “향후 통화정책 수행에 있어 대외여건 변화 역시 더욱 유의하여야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