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연준은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며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4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이다.
앞서 연준은 지난 1월 29일 FOMC 회의를 시작으로 3월과 5월에도 기준금리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 바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시행하는 관세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전혀 없다는 주장을 펼치며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연준을 압박해왔다.
이러한 행보는 이날도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난하며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기준금리) 2포인트 더 인하해야 한다. 2.5포인트 낮으면 더욱 좋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8000억달러, 7000억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걱정한다면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나는 인플레이션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도 인플레이션은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를 거부하고 있고 현명하지 못하다”고 비난했다.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연준은 기준금리 동결을 택했다. 관세 정책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높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이날 FOMC의 정책 결정문에는 ‘경제전망 관련 불확실성이 보다 증가하였음’에서 ‘불확실성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높음(Uncertainty about the economic outlook has diminished but remains elevated)’으로 변경됐다.
파월 의장도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고, 경제 변화가 보다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파월 의장은 FOMC 정례회의 직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불확실성이 다소 줄어들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관세 인상은 물가를 상승시키고 경제활동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 효과의 규모와 지속 기간,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시간 모두 매우 불확실하다”며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일 수도, 지속적일 수도 있다.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연준의 기준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한 가운데,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75%에서 2.50%로 인하하며 금리 격차는 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이를 두고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은이 내달 통화 완화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금리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경우 환율 상승과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 12일 한은 창립 75주년 기념사에서 “미국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에 따라 내외 금리차가 더 커질 수 있다”며 “무역협상 결과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높아 외환시장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인하했다.
당시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이내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어줬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르면 7월에 한 차례 더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연준의 결정으로 한은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국내 경기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수출과 내수 모두 위축될 가능성도 여전히 높은 만큼,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가계부채도 증가해 다음 달 금리인하는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통해 확장재정에 나설 경우 원론적으로는 금리인하로 보조를 맞추는 게 경기 부양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므로 8월에는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