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준혁 기자 |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가 60주년을 맞은 가운데 산업계에서 국내 경제 성장을 위한 한일 협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의 매출액 상위 1000대 비금융사 대상(응답 101개사)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경제협력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 중 56.4%가 지난 60년간 양국 간 경제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경제 발전 기여 협력 분야(1·2순위 선택)로는 ‘기술 이전 및 협력’이 5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 ‘관광·문화 산업 발전’, ‘소재·부품·장비 등 공급망 안정화’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기업들은 향후 한일 경제협력에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은 공감대를 보였다.
 
응답 기업 중 62.4%가 ‘한국 경제 성장을 위해 한일 경제협력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협력이 불필요하다는 곳은 3.0%에 불과했다.
 
특히 응답 기업 중 88.1%는 ‘경제협력을 위해 안정적인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양국 간 시너지 창출이 예상되는 분야로는 반도체, AI(인공지능) 등이 꼽혔다.
 
한일 간 시너지 효과 기대 산업(1·2순위 선택)으로 반도체가 9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AI가 57점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자동차, 바이오·헬스케어, 조선, 배터리 등에서 시너지가 기대될 것으로 집계됐다.
 
한경협은 “국내기업들은 한일 양국이 최근 전략적 가치가 커지고 있는 첨단산업 분야에서 협력했을 때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며 “양국이 공통으로 직면한 저출생·고령화 대응을 위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역시 유망 협력 분야로 지목됐다”고 설명했다.
 
경제 협력 방식으로는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이 69점으로 가장 높아 미국 관세정책 등으로 인한 대외 불확실성 완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는 ‘R&D(연구개발) 협력’, ‘정상급 교류 확대’, ‘제3국 공동 진출’ 등 순이었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최근 국제정세와 통상 질서 재편 속에서 한일 경제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는 양국 협력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한일 간 경제협력 필요성은 산업계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날 미래 첨단산업에서 한일 기업이 소재·부품·장비를 중심으로 협력 기회가 확대될 것이란 내용이 포함된 보고서를 발표했다.
 
김나율 무협 연구원은 “오늘날 한일 기업 협력은 상품 교역을 넘어 미래 첨단산업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며 “양국이 미래 산업의 동반자로 함께 성장하기 위해 규제는 낮추고 기업 투자 인센티브의 강화, 기술 및 인적 교류 등 다양한 협력 채널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제시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지난 4월 국회 ‘미래산업포럼’ 발족식에서 “(저성장 기조 극복을 위해) 일본과의 경제적 협력, 조금 더 크게 이야기하면 병합을 생각할 수 있다”며 “미국·중국 등과 병합하면 흡수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우리한테 베네핏(이익)이 생길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한일의 LNG 공동 구매 등 탄소 전략 논의, 의료 시설 스와프 등을 통한 고령화 문제 비용 절감 등 20가지의 방안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 회장은 지난달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도 “한국과 일본이 액화천연가스를 공동으로 구매하면 그 규모도 커지고 가격 협상력도 강화된다”며 “에너지 저장 시설의 공동 이용이나 수소 기술 공동 개발도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