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3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최근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라 AIDT 검정·재검정 절차를 시작했다.
이번 검정 심사에 접수된 AIDT는 초등학교 영어 5~6학년 18종, 초등학교 수학 5~6학년 36종, 중학교 영어 2학년 11종, 중학교 수학 2학년 9종이다.
다만, 고등학교 공통수학 및 공통영어는 작년에 검증된 교과서를 올해부터 사용하게 되면서 검정 대상에서 제외됐다.
검정 심사기관은 기초조사와 본 심사, 수정본 검토 등을 거쳐 8월 말 최종 합격 공고를 낼 예정이다.
또한 교육부는 지난해 불합격한 교과서 70종을 상대로 재검정 심사 신청을 받은 결과 총 47종(13개 출원사)이 재검정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과서인 AIDT는 같은 수업을 받더라도 학생 별로 다른 ‘학생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023년 6월부터 “AI 교과서를 함께 소통해 만들고 활용할 때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DT 추진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당시 AIDT의 법적 지위를 교과용 도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인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야당의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는 등 혼란이 이어져왔다.
특히 정권이 바뀌면서 AIDT가 앞으로도 공식 교과서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현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AIDT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내용을 공약했고, 현재 법적 지위를 박탈하는 법안을 재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감사원이 AI 교과서 도입 절차의 위법성 등을 조사하기 시작하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구지부는 지난 10일 논평을 통해 “AI 교과서 정책이 법률주의 원칙에 부합했는지, 교사·학부모·학생들이 제기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도입을 강행한 과정 전반에 대한 철저한 감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교육청은 AI 교과서 현장 안착 지원을 위한 ‘AI 교과서 활용 현장 의견 수렴 안내’ 공문을 발송하고 AI 교과서 관련 추경 예산 51억원도 계획하고 있다”며 “교육청이 해야 할 일은 현장 안착 지원이 아니라 교육 현장의 의견 수렴에 따른 AI 교과서 정책 폐기”라고 부연했다.
또한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도 “AIDT가 구독료를 납부할 만큼 학습 방식이나 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 등 교육적 효과를 이끌어내지 않고 있고 특히 학부모와 교원이 정책 추진 과정에서 소외되었다는 강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며 “새 정부가 출범했음에도 2026년 AI디지털교과서 사업을 밀어붙이는 모습에 당황스럽고 뻔뻔하기까지 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