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봉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송언석 원내대표가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진행되는 이 대통령과의 오찬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결과를 설명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와 관련된 의견을 나눌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차 추경(추가경정예산안) 처리와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문제 등을 포함해 의제를 정하지 않고 국정 전반에 대해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눌 방침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지원 확대 등을 담은 30조5000억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10조2967억원 규모로 편성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비 활성화 및 경기 진작을 위해 전 국민에게 1인당 15~50만원을 차등으로 지급하며, 지역화폐 할인액 지원 사업에는 6000억원을 추가 편성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김민석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여야의 의견을 들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여야는 지난 20일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증인·참고인 채택을 위한 합의에 실패했다고 밝힌 바 있다.
현행법상 증인·참고인 등에 대한 출석요구서는 출석요구일 5일 전에 송달돼야 하나, 시한을 넘기면서 ‘무(無) 증인’ 국무총리 청문회가 열리게 됐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일방통행식 주장과 강요로 증인 채택에 이르지 못했다”며 “우리는 민주당에 ‘양당에서 제시한 모든 증인·참고인을 모두 채택하자’고 했지만, 민주당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회동은 이 대통령 취임 이후 18일 만에 성사된 회동으로 역대 대통령들에 비해 이른 편이다.
여야 지도부 회동은 다음 달 초순에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이 대통령이 회동 시기를 앞당기자고 참모들에게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 19일 “참모들은 여야 지도부 회동을 7월 초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건의드렸다”며 “이 대통령이 ‘자주 볼 텐데 뒤로 미룰 일이 있나. 일단 G7 정상회의 결과를 설명드리고 시급한 현안에 대해 여야가 대화를 나누는 게 바람직하다’며 직접 시기를 당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 정당의 지도부 개편이 완성된 이후에 어떻게 할 건지는 계획은 잡고 있지 않다”면서도 “대통령은 가능한 자주 회동해 소통을 계속하는 것이 국민주권정부의 방향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