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온 기자
artistxion@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눈물까지 통역해 달라-경기도 전지공장 화재사고, 그 기록과 과제’ 보고서에는 단순한 사고 경위를 넘어 경기도가 지난 1년 동안 무엇을 반성하고, 어떻게 변화로까지 이어갔는지 등에 관한 성찰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해당 보고서에서 아리셀 화재사고를 작업장에서의 예외적인 사고가 아닌, 산업현장의 다단계 하청구조와 이주노동자의 제도적 배제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재난이라고 규정했다.
1부와 2부로 나눠진 보고서는 ‘경기도의 대응’과 ‘자문위원회의 분석과 권고’ 등으로 분류됐다.
자문위원장을 맡은 백도명 서울대 명예교수는 “위험의 외주화·이주화가 반복적으로 누적돼 발생한 필연적 비극”이라고 진단했다.
해당 보고서는 경기도 누리집에서 전자책 형태로 게재되어 누구나 열람이 가능한 상태이며, 공공기관과 도서관, 이주민 지원기관 등에 무상으로 배포될 예정이다.
다음 달 중순부터는 전국의 주요 서점과 온라인 서점에 유료 판매도 진행된다.
김동연 지사는 보고서 발간과 관련해 “단지 과거를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반성과 성찰을 통해 경기도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사회적 재난의 예방과 대응 매뉴얼로 쓰이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아리셀 화재사고 유족과 노동계는 지난 1년 동안의 지지부진했던 변화를 지적하면서 책임자 엄중한 처벌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대책위원회와 아리셀 산재 피해 가족협의회는 지난 21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 계단에서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1주기 추모대회’를 열었다.
이날 현장에 참석한 이미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은 “아리셀 참사는 위험한 작업이 원청에서 불법파견 위장도급으로, 비정규직 내국인 노동자에서 이주노동자들에게 전가되는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민낯을 그대로 드러낸 참사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리셀 참사에 중대재해처벌법의 엄중한 집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소방청 국립고방연구원은 한국안전학회와 함께 오는 24일 서울 비즈허브센터에서 ‘리튬전지 화재안전 연구동향 세미나’를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리튬전지 산업 전반의 화재안전 대책을 정비하기 위해 마련된 세미나로,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한다.
김연상 국립소방연구원장은 “이번 세미나가 리튬전지 화재 위험으로부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