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온 기자
artistxion@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4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기후동행카드를 부정 사용하다 적발된 건수는 총 395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본격적인 단속 이전인 지난해 전체 적발 건수(11건)와 비교하면 폭발적으로 증가한 수치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2000원(따릉이 제외)을 내면 30일 동안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정기권이다.
만 19세에서 39세 사이 청년은 7000원이 할인된다. 정기권으로는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항철도, 경춘선, 수인분당선, 김포골드라인, 따릉이 등도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시민에게 필수 교통카드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카드 한 장을 여러 명이 함께 돌려 사용하거나, 청년권을 할인 대상이 아닌 이가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악용 사례가 늘고 있다.
적발되면 일반 부정승차와 동일하게 기본 운임의 30배에 해당하는 부가운임을 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는 단속 강화를 포함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부정 사용이 많은 청년권에 대해 지하철 개찰구를 통과할 때 '청년할인'이라는 음성 안내를 추가해 식별을 돕는 방안을 마련했다.
오는 7월 일부 역에 시범 도입한 뒤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30배인 부가운임을 50배까지 높이는 철도사업법 개정도 정부에 지속 건의하고 있다.
단속 실적이 우수한 역 직원에게는 교육 연수 대상자 선발 시 가점을 주는 방식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의 친환경 교통정책의 핵심”이라며 “부정 사용을 줄이고 제도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단속을 강화하고 제도 개선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