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4일 현지 공영 NHK 등에 따르면, 정기국회 폐회에 따라 이날 각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참의원 선거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국회가 폐회한 후 24일 이후 30일 이내에 실시하도록 돼 있다.
7월 19일은 토요일, 20일은 일요일, 21일은 ‘바다의 날’로 휴일로, 이에 3일 연휴 도중 선거가 치러지게 됐다. 이처럼 참의원·중의원(하원) 선거가 연휴 중 실시되는 것은 보궐 선거를 제외하면 2차 세계대전 후 이번이 처음이다.
참의원 의원의 임기는 6년으로 3년마다 절반을 교체하는 선거를 치른다. 이번 선거는 7월 28일 임기가 만료되는 참의원 의석을 채우는 선거다.
참의원 의석 정원은 총 248명으로, 이번 선거에서는 이 중 절반인 124석과 공석인 의석 1석을 더해 125명을 선출할 예정이다.
NHK는 “이번 선거에서는 고물가 대책, 저출생 대책, 연금 등 사회보장 대책 등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질 전망”이라고 관측했다.
아울러 중의원에서 ‘소수 여당’으로 전락한 집권 자민당, 연립여당 공명당이 이번 선거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 50석을 가져와야 한다.
자민당이 추진하는 개헌 실현을 위한 ‘개헌선’(138석) 확보를 위해서는 50~62석을 확보해야 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번 선거가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여름 이후 정권 운영을 좌우할 분수령”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시바 총리는 지난 23일 이번 선거 승패 기준을 ‘과반 의석 확보’로 제시했다. 만일 여당이 50석에 미치지 못하는 의석을 확보할 경우, 지난해 가을 중의원 선거에 이어 여당이 국정 선거에서 2연패 하게 된다.
그러나 개헌선을 확보할 경우, 이시바 총리 연임 시나리오에 청신호가 켜지게 된다.
다만 중의원에서 야당이 다수인 상황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법안은 물론, 예산안 국회 통과를 위해서는 야당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안정적인 정권 운영을 위해 연립정권 확대, 무소속 의원 영입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당 내에서 커지고 있다.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