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국내 정책 및 예산 의제 홍보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국내 정책 및 예산 의제 홍보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고, 뒤이어 인도와도 큰 협정을 맺을 것을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간) 뉴스위크(News Week)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개최한 감세 법안 통과 촉구 행사에서 “어제 중국과 협정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으며 “이 협정이 중국을 개방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협정은 지난 9~10일 영국 런던에서 진행한 2차 합의 결과를 지칭하는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통신(Bloomberg)과의 인터뷰에서 “이틀 전 (양측이) 런던에서 다시 모여 협정을 체결하고 서명했다(signed and sealed)”고 말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지난 5월 ‘제네바 합의’를 도출했으며, 이어 지난 10일 합의 이행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합의한 바 있다.

해당 합의는 희토류 및 핵심 광물 수출 통제 해제, 미국의 기술 수출 통제 완화, 미국 내 중국인 유학생 비자 제한 완화 등을 골자로 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도와도 대규모 협정이 임박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협정이 곧 나올 수 있다”며 “인도 시장을 개방하는 매우 큰 협정”이라고 강조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에 대해 “인도와 협정은 (인도) 총리와 의회가 승인해야 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 협정을 마무리하는 걸 선호한다”며 “대통령이 통화를 해 협상 최종 세부 사항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국가와 협상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결정할 것이라며 “우리가 할 일은 다양한 국가들과 관세 협정 구조를 수립하는 것으로, 7월 9일까지 준비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상호 관세를 발표한 뒤 무역 협정을 체결한 곳은 영국 한 곳이다. 내달 9일로 예고된 상호 관세 90일 유예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기한을 연장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유예 조치 연장 계획에 대해 “아마도 그럴 수 있지만, 대통령이 내릴 결정”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마감 시한까지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미국이 관세율을 일방 통보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