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매출액 500대 기업(응답 120곳) 대상 ‘2025년 하반기 투자계획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78.4%는 하반기에도 상반기 수준의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상반기보다 줄일 것이라는 곳은 13.3%였으며 확대하겠다는 곳은 8.3%였다.
하반기 투자 확대 계획을 세웠다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변화 기대’ 20%, ‘노후화된 기존 설비 교체·개선’ 20%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업사이클 진입 또는 업황 개선 기대’가 16.7%로 뒤를 이었다.
투자 축소를 계획 중인 곳은 그 이유로 ‘미국 트럼프 2기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가 33.3%로 가장 많았다. 이를 이어 ‘내수시장 침체 지속’ 25.0%, ‘고환율 등 외환 및 원자재가 상승 리스크’ 14.6% 등 순이었다.
한경협은 “수출 불확실성 확대와 내수 부진 장기화로 최근 기업들이 신규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지만 하반기에는 새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있어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는 기업들이 다수이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은 하반기 투자 리스크로는 ‘미·중 등 주요국 경기 둔화’를 26.4%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 심화’ 23.6%,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15.0%, ‘금융·자본시장 위축’ 14.2% 등 순으로 위험 요소로 여겼다.
투자 애로 요인으로는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비롯해 세금 및 부담금 부담, 투자 관련 규제, 에너지 비용 부담 등을 언급했다.
한경협은 특히 기업의 국내 투자 결정·집행에 있어 세금과 규제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이번 조사에서 국내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27.5%가 ‘세제지원·보조금 확대’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내수경기 활성화’ 15.3%, ‘신산업 진입 규제 및 투자 관련 규제 완화’가 11.9%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가 직면한 저성장을 타개하려면, 기업들의 적극적·모험적 투자를 토대로 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이 필요하다”며 “AI·바이오·컬처 등 미래산업에 대한 세제·금융지원을 강화하고, 규제 시스템을 Negative(원칙 허용, 예외 배제)로 과감하게 전환하여, 새로운 산업 분야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 유인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3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5월 산업활동 동향’ 발표에 따르면 지난 5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4.7% 감소했다.
이에 설비투자는 지난 3월(-0.5%)과 4월(-0.5%)에 이어 다시 한 번 축소됐으며 하락폭 또한 더욱 커졌다.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0.1%)에서 투자가 증가했으나,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6.9%)에서 투자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