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르면 이날 워싱턴 D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관세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산업부는 여 본부장 방미 협의를 통해 “윈-윈 할 수 있는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미 측이 제기한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눌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여 본부장은 미국이 요구하는 이른바 비관세장벽 철폐와 한미 무역수지 균형 등에 대한 한국 측의 구체적 입장을 담은 협상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한국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였던 4월부터 진행된 한미 간 실무협의(기술협의)와 장관급 협의에서 제기된 미국 측의 비관세장벽 완화 관련 요구에 대한 입장, 한미 간 호혜적인 산업 협력에 대한 제안 등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여 본부장 방미의 중요 목표 중 하나는 이 같은 협상안을 토대로 상호관세 유예연장을 끌어냄으로써 한미 간 무역 합의를 도출할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는 미국으로 출국하면서 “현 상황에서는 우리가 무리하게 시한에 쫓기기보다는 좀 더 시간을 갖고 (협상의) 내실을 기하는 것이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필요하면 상호관세 유예를 통해 계속 상호 호혜적이고 내실 있는 ‘윈-윈’의 협상 결과를 만들자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전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오후부터 4일 새벽 아이오와주를 다녀오는 길에 기자들에게 4일부터 상호 관세율이 적시된 서한을 10~12개국에 발송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대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2일 책정한 뒤 같은 달 9일 시행에 들어갔으나 곧바로 이를 90일 유예했다. 이후 유예 만료 시점을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둘러싼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합의를 도출한 나라는 영국과 베트남뿐인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협상의 시간이 막바지에 이르렀고, 이제 곧 통보할 것임을 거듭 시사해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돈이 미국에 8월 1일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끝나는 직후인 9일이 아닌 내달 1일을 상호관세 발효 시점으로 삼고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