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투데이코리아
▲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투데이코리아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규제를 시행하며 은행권 주담대 신청액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의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첫 주(6월 30일~7월 3일) 서울 지역의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은 3500억원대로 집계됐다.
 
이는 대출 규제 발표일 직전 주(6월 23일~27일) 일평균 신청액 7400억원과 비교해 52.7% 감소한 것이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의 주담대 신청액이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이와 함께 강남권 아파트 매수세도 주춤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한 108.8로 집계됐다. 앞서 해당 지수는 5월 첫째 주 이후 7주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으나, 하락 전환한 것이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장에 즉각적 반응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대출 규제 효과 확인을 위해 대출 신청액과 승인액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계대출 실행액이 주택 매매와 1~3개월 가량의 시차가 발생하는 반면, 대출 신청액 등은 매매 계약 시점과 시차가 크지 않아 전반적인 시장 심리와 동향 파악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정부가 고강도 6·27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한 이후 은행권에서는 가계대출 대책 반영을 위해 한시적으로 비대면 주담대 접수를 중단했다. 향후 은행권은 이번 주부터 순차적인 비대면 접수를 재개할 전망이다.
 
5대 시중은행(KB국민·하나·신한·우리·NH농협)은 새로운 가계대출 규제 내용을 반영한 전산 작업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의 경우 전산시스템에 새로운 규제 내용을 반영해 다음 주 중 주담대의 비대면 대출을 재개할 계획이다. KB국민은행은 규제 시행 전 지난달 28일 계약된 건에 한해 지난 2일 비대면 주담대 접수를 재개했다.
 
우리은행도 다음 주 안에 비대면 주담대 판매를 재개할 예정이며, 신용대출은 오는 7일부터 정상화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