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 산출 기준시점(1980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7월 수익률은 45회 중 29회 플러스(+)를 기록하며 열두 달 중 가장 상승 횟수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기간 7월 코스피의 평균 수익률은 2.1%로 집계됐다.
3월과 11월 상승 횟수는 각각 28회로 뒤를 이었으며, 4월과 12월은 각 26회, 1월과 9월은 23회로 집계됐다.
7월에 코스피가 높은 수익률을 나타내는 배경에는 2분기 기업들의 실적 발표 기대감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 유입세 증가 등이 거론된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7월은 2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되는 시기로, 실적 기대감 등으로 코스피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며 “계절적으로 직전 5~6월 주식 성과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도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투자자별 순매수액 관련 자료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지난해까지 외국인이 7월 코스피 시장에서 매수 우위를 나타낸 경우는 27회 중 18회로 집계됐다.
특히 2009년 7월 외국인 순매수액은 6조1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당시 코스피는 7월 한 달간 12.03% 급등했다.
다만, 국내 증시가 최근 연이은 상승세를 기록했기 때문에 단기 차익 실현 매물 등으로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도 나온다. 아울러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도 임박하고 있어 변동성이 확대되고, 2분기 일부 국내 기업의 실적 부진 등도 예상되는 만큼, ‘서머 랠리’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새 정부의 증시 부양 정책 기대감 등으로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가 3100포인트를 넘어서며 차익 실현 욕구도 존재하지만, 신정부 정책 기대감에 현재 주식 시장에 대기하는 자금은 풍부한 상황”이라며 “2차 추가경정예산안 등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은 유동성 공급 정책으로 결국 주가를 지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