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윤진 감독이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화 ‘소주전쟁’ 감독 크레딧 삭제와 관련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준혁 기자
▲ 최윤진 감독이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화 ‘소주전쟁’ 감독 크레딧 삭제와 관련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준혁 기자
투데이코리아=김준혁 기자 | 영화 ‘소주전쟁’의 원안 시나리오를 두고 제작사 측과 저작권 분쟁을 겪고 있는 최윤진 감독이 유사한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심해’에 대해서도 저작권 탈취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최윤진 감독은 14일 <투데이코리아>에 “갑의 지위에 있는 최윤진이 을인 김기용, 박현우 신인작가의 글을 탈취하고 표절한 것처럼 둔갑됐다”며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했다.
 
앞서 영화 ‘소주전쟁’은 시나리오의 제1창작자의 자리를 놓고 더램프 및 박현우 작가와 최 감독이 진위공방을 벌였으나, 갈등 끝에 제작사가 감독 크레딧을 제외하고 개봉했다.
 
이와 관련해 더램프 측은 감독 해고 사유에 대해 ‘소주전쟁’(당시 모럴해저드)의 원안 시나리오를 함께 쓴 신인작가의 존재를 숨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최 감독은 더램프 및 김기용 작가와 ‘심해’를 두고서도 시나리오 저작권 갈등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최 감독은 “박은경 더램프 대표가 영화사꽃(대표 최윤진)간의 ‘심해’ 공동제작계약 조건을 못마땅해 최윤진을 배제하고 단독제작하기 위해 김기용 작가에게 연락해 이간을 했다”며 “박현우 작가에게도 똑같은 방식으로 부추겼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제가 잘못을 아예 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최 감독은 “(심해의) 단독 등록문제는 제가 지난 2018년 10월 초고를 쓸 때 강원도 영상위로부터 기성작가가 최윤진 자격으로 숙박지원을 받고 같은해 12월 정산서류에 ‘최윤진 버전 시나리오초고’를 제출하고 이를 저작권등록증을 제출했다”며 “김기용 작가는 이미 작가계약서를 통해 각본크레딧(성명표시권)이 보장되어 있었다”고 해명했다.
 
최 감독에 따르면, 해당 과정을 문제 삼은 김기용 작가 측이 더램프의 로펌을 통해 지난 2023년 9월 내용증명을 보내자 저작권 단독 등록의 말소 및 김기용과 공동 재등록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최 감독은 “그럼에도 박 대표와 김 작가는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권리인 저작재산권을 요구했다”며 “저작권 단독 등록 말소는 할 수 있으나 영화 제작 권리는 내놓을 수 없다고 회신했다”고 덧붙였다.
 
이후 양측의 갈등은 법정으로까지 이어졌으며 민사소송 1심 재판부는 더램프와 김기용 작가 측의 부분적으로 손을 들어줬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 제63민사부는 김기용 작가 제기한 저작권등록변경 등 청구소송에 대해 지난 5월 8일 최 감독이 ‘심해’의 저작권 등록을 말소할 것과 김기용 작가에게 500만원을 배상할 것을 판결했다.
 
다만 재판부는 최 감독과 김 작가 사이 작가 계약 및 해지 합의는 유효하다고 인정했다.
 
먼저 진행된 최 감독에 대한 저작권법 위반 관련 형사 고소 건에 대해서는 서울중앙지검에서 불기소 결정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최 감독은 “민사소성이 ‘저작인격권 다툼’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양상은 지속적으로 ‘저작재산권’ 다툼이었다”며 “지난해 4월 민사재판부에서 조정을 시도했을 때도 저작권위원회 단독 등록 말소 의사를 전했지만 ‘작가계약서 원천무효’는 조정의사가 없어 이를 입증하겠다고 결렬통보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