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자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향해 고강도 관세 위협과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확대라는 전략을 동시에 꺼내 든 것이다.
1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 직후 취재진과 만나 “만약 50일 이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러시아에) 매우 혹독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이 같은 경고장을 내놨다.
그는 “관세는 약 100% 수준이 될 것”이라며 “세컨더리(secondary) 관세라고 부를 수도 있다”고 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에 합의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는 물론 중국, 인도 등 러시아와 교역하는 제3국에도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어 “무역을 많은 일에 사용한다”며 “(관세는) 전쟁을 해결하는 데도 훌륭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재 미 의회에서도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 주도로 러시아산 원유나 가스를 수입하는 나라에 500% 관세를 부과하는 러시아 제재 법안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나토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대공 방어 무기를 포함해 대규모 공격용 무기를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Axios)에 따르면, 이번 지원 규모는 약 100억 달러(약 1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체결된 협정에 따라 나토가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며 “우리는 최상급 무기를 생산할 것이고, 이를 나토에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모습은 푸틴 대통령에게 매우 우호적이던 과거의 모습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지난 2018년 핀란드 헬싱키 미러 정상회담에서 미 정보기관이 러시아가 2016년 미 대선에 개입했다는 결론을 내렸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만난 직후 대선개입을 하지 않았다는 푸틴 대통령을 옹호하는 등 친(親)푸틴 성향을 드러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협상이 계속 교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크게 흔들린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취임 하루 만에 끝내겠다던 약속을 이미 지키지 못한 데다 여러 차례 푸틴 대통령과 직접 대화에서도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낸 상황이 누적되자,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가로서 본인의 이미지가 실추된 데 대해 큰 불만을 느낀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를 늦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마크 몽고메리 전 미 해군 소장은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매번 최대한도까지 밀어붙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국 그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며 “푸틴은 무기든 경제든 버틸 수 없는 고통을 겪지 않는 한 (우크라이나를 향한 공세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