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카카오뱅크가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로 수집된 데이터 기반으로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스미싱 문구 유형 통계’에 따르면, ’개인정보 유출·수집 사칭‘이 전체의 37%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세 문구 내용으로는 ’계정이 해킹됐으니 차단을 위해 링크를 클릭하라‘, ’계정에 불안정한 활동이 확인됐다‘, ’개인정보 인증이 필요하다‘ 등이었다.
이외에도 ‘금융기관 사칭’ 19%, ‘기업 및 광고 사칭’ 18%, ‘청첩·부고 등 지인 사칭’ 12%, ‘과태료·범칙금 등 단속 사칭’ 10% 등 순이었다.
또한 대학 합격 통보, 교육비 납입 증명서 문구를 비롯해 오징어게임 시리즈 등 사회적 관심이 높은 트렌드가 문구에 반영되기도 했다.
이 같은 피해 예방을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문자 수신 시 출처 불분명의 사이트 주소는 클릭하지 말고, 휴대폰 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는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만 입력할 것을 권고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스미싱 문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수법 또한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을 경우, 카카오뱅크의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를 통해 내용을 검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뱅크는 신분증 촬영 및 인식, 안면 인증, 무자각 인증 등 금융 인증·보안 솔루션 자체 개발을 통해 기술은행으로서 금융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