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김영선 전 의원이 4월 29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김영선 전 의원이 4월 29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기봉 기자 |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들을 수사하고 있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명태균 게이트’ 사건과 관련해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게 소환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김 전 의원에게 소환을 통보했고 일정을 조율 중에 있다”며 이같이 공지했다.
 
김 전 의원은 현재 창원지법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어 공판기일을 고려해 일정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전 의원은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과 김상민 전 부장검사 등과 함께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2022년 국회의원 보궐선거 및 2024년 4·10 총선 공천개입 의혹에 연루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2022년 대선 과정에서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씨로부터 총 81차례의 불법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같은 해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김 전 의원이 공천받을 수 있도록 해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둔 2022년 5월 9일 명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라고 말했다.
 
또한 특검은 김 여사가 2022년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도지사·강원도지사 공천에 개입하고, 김 전 검사를 위해 지난해 총선에 개입했다는 점에 대해서도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특검은 지난 8일 김 전 의원, 윤 의원, 김 전 검사 등의 자택과 사무실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윤 의원은 비밀번호를 해제하지 않은 아이폰을 임의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사건을 폭로한 제보자 강혜경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한다.
 
강씨 측은 지난 9일 언론 공지를 위해 “당일 강씨가 소지 또는 소유한 명태균 사용 PC, HDD, SSD 등을 임의제출할 계획”이라며 “해당 물품들은 기존에 검찰이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하고 있었으나, 포렌식을 대선 기간 전후로 한정해 진행하는 등 확보된 데이터범위가 부분적일 것이라고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자료에는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한 내용과 연락 흔적이 남아 있다”며 “변호인단은 임의제출을 통해 특검이 모든 범위를 증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여론조사 내역 등 포렌식 분석자료와 계좌내역을 임의제출 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강 씨는 명씨가 운영한 것으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의 부소장으로 근무했고, 김 전 의원의 회계책임자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