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Reuters)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저녁 영상 연설을 통해 새 내각이 6개월 이내에 자국 내에서 생산되는 무기의 비율을 50%까지 늘리기 위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전선과 작전 중에 사용되는 무기 중 우크라이나산은 약 40%”라며 “이미 우리나라가 독립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고, 생산량이 정말 많지만 우리는 더 많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국내 생산을 늘려 새 내각 출범 후 첫 6개월 이내에 우크라이나산 무기 비율 50%를 달성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면서 “이 목표가 쉽지는 않지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앞서 예고한 대로 율리아 스비리덴코 제1부총리 겸 경제장관을 새 총리로, 데니스 슈미할 현 총리를 새 국방장관에 지명했다. 그는 전현직 국방장관과의 회의에서 국방부가 “무기 생산 분야에 있어 더 큰 영향력을 갖도록(greater influence in the domain of arms production)” 하는 결정을 내렸다고도 말했다.
이번 발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 반을 지나는 시점에서 휴전을 위한 외교적 노력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경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와중에 나왔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정부 개편에 시동을 걸면서 동시에 국내 무기 산업도 강화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나 주목할만한 사항은 이번 계획이 미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발표한 직후 발표됐다는 점으로,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는 패트리엇 등 미국산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되 그 비용은 나토 회원국들이 100% 낼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세부 사항은 구체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데다 트럼프 대통령이 장거리 무기는 배제 방침을 밝혀 한계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