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현지시각)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현지시각)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러시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우크라이나 대규모 무기 지원 발표에 맞서 ‘선제공격’까지 거론하며 서방에 대한 위협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50일 내 종전 압박과 함께 대(對)러 제재를 강화하는 가운데, 러시아는 서방 지원국 군사시설에 대한 직접 보복 공격 가능성까지 시사하며 긴장 고조를 부추기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리아노보스티통신에 따르면,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러시아는 그들의 (장거리) 무기를 러시아에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나라의 군사시설에 우리 무기를 사용할 권리가 있다고 간주한다”고 밝혔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서방제 무기로 러시아 영토를 공격할 경우, 해당 무기를 제공하고 사용을 승인한 국가에 대해 러시아가 직접적인 군사 보복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특히 자하로바 대변인은 독일의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인 타우러스를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우크라이나가 이 미사일로 러시아를 공격하면 이를 독일군의 직접적인 개입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를 두고 분쟁의 책임을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서방 지원국까지 확대하려는 의도로 해석도 나오고 있다.
 
또한 영국과 프랑스가 주도하는 ‘의지의 연합’ 다국적 평화유지군 창설 계획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발했다..

타스통신(TASS)에 따르면, 자하로바 대변인은 “(평화유지군 창설은) 외국의 군사 개입을 위한 준비로 간주한다”며 “어떠한 명분으로든 우크라이나에 다른 나라 군대를 배치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다국적군이 우크라이나에 배치되면 합법적인 군사 표적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서방의 직접적 군사 개입 시도에 대한 강경 대응 의지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50일 내 종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강력한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데 대해서는 “최후통첩과 협박, 위협의 언어는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일축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한발 더 나아가 서방에 대한 선제공격 필요성까지 주장했다.
 
로이터통신(Reuters)에 따르면,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이날 “오늘날 대리전은 본질적으로 전면전”이라며 서방의 미사일 발사, 위성 정보 수집, 제재와 더불어 유럽의 군사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도 이에 따라 정면 대응을 해야 한다(responding in full). 필요하다면 선제공격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러시아의 공세적 군사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러한 러시아의 강경 발언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나토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확대하면서 전쟁 종식을 위한 대러 압박을 강화한 데 대한 반발로 분석된다. 러시아가 서방의 압박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 협상 국면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적 의도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