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의 앤드류 W. 멜론 오디토리엄에서 열린 AI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의 앤드류 W. 멜론 오디토리엄에서 열린 AI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미국과 유럽연합(EU)이 EU산 수입품에 대한 15% 상호관세 부과를 골자로 한 무역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잇따른 고율 관세 압박 속에서 EU가 일본에 이어 미국과 무역 타결을 시도하며 대응에 나선 모양새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과 EU가 일부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EU산 수입품에 15% 관세율을 적용하는 포괄적 무역 협정을 두고 막바지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FT는 소식통을 인용해 “EU가 예고된 30%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15% 수준의 관세에 미국 측과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전했다.

현재 협상안에는 항공기, 의료기기, 증류주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 조항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EU 집행위원회는 해당 협상 내용을 각 회원국에 공식 브리핑했으며, 오는 24일에는 보복 관세안 표결도 예고돼 있다.

이번 합의가 성사될 경우, 전날(22일) 미국과 일본이 발표한 무역 합의와 유사한(mirroring) 수준의 조율로 평가된다.

한 EU 고위관료는 FT에 EU가 미국·일본 간 합의로 인한 경쟁력 약화를 우려해 ‘울며 겨자 먹기’(holding their noses) 식으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올해 4월부터 EU산 제품에는 평균 4.8%의 기존 관세 외에 10%의 추가 관세가 적용돼 왔다. 협상 중인 15% 관세율은 이러한 기존 관세를 포함한 것으로, 사실상 현상 유지를 택한 셈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아울러 현재 27.5%에 달하는 자동차 관세율도 15%로 인하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다만 철강 등 일부 품목은 예외로 남을 전망이다. 같은 날 로이터통신(Reuters)은 “미국이 일부 품목에선 관세를 양보할 수 있지만, 철강에 적용 중인 50% 관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정상회의 연설에서 “EU와 매우 진지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EU가 미국 기업에 시장을 개방할 경우 관세를 낮출 수 있다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EU는 협상이 최종 타결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최대 30% 관세에 해당하는 총 930억 유로(약 150조5000억원) 규모의 보복관세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U의 보복 대상에는 항공기, 자동차, 버번위스키 등 미국 전략 품목이 포함돼 있다.

협상 상황에 대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FT에 “보도 내용은 추측일 뿐”이라며 가변성을 강조했고, 유럽 측 역시 “합의에 낙관적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을 예측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