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며 “우리는 호주에 소고기를 많이 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것이 미국산 소고기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최고라는 사실을 반박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의 훌륭한 소고기를 거부하는 다른 나라들도 (개방) 요청을 받은 상태(on notice)”라며 “가장 열심히 일하고 가장 훌륭한 사람들 중 일부인 우리 축산업자들이 오늘 웃고 있으며, 이는 곧 나도 웃고 있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 명의의 공동 성명도 공유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호주 정부가 미국산 신선·냉동 소고기에 자국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며 “이는 미·호 무역 관계에서 중요한 이정표이자, 미국 축산업계에 있어 역사적인 승리”라고 밝혔다.
그리어 대표는 “수십년간 호주는 미국산 소고기에 부당한 장벽을 뒀다”며 “이번 결정은 무역 장벽을 낮추고, 미국 농축산업계의 시장 진입을 확고히 하는 중대한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USTR은 미국 국민들이 주요 시장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타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상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롤린스 장관 또한 “미국 농축산업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건강한 소고기를 생산하고 있다”며 “지난 20년간 비과학적인 무역 장벽(non-scientific trade barriers) 때문에 우리 소고기가 호주 소비자들에게 판매되지 못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호주 정부는 전날(23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제한을 다음 주부터 해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지 언론들은 이를 계기로 호주 정부가 자국 철강·알루미늄에 매겨진 미국의 50% 고율 관세, 의약품에 대한 200% 관세 예고 조치 등을 철회할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 정부 역시 다음 달 1일로 예정된 미국 측의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관세 회피를 위한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한국과의 협상 과정에서도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와 일부 농산물 수입 확대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