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훈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LG화학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4768억원을 달성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5% 상승한 수치다. 매출은 같은 기간 6.7% 감소한 11조4177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부문에서 4조6962억원의 매출과 90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분쟁 및 중동 정세 불안 등에 따른 구매 관망세 지속과 부정적 환율 효과로 인한 적자 지속된 영향이다.
이에 LG화학은 북미, 아시아 등 주요 제품의 신증설 사업 정상화 및 코스트 절감 활동을 통해 3분기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첨단소재부문에서는 매출 1조605억원과 영업이익 709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구매심리 위축 등으로 전지재료 출하가 감소했으나,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은 견조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3분기에는 IRA 보조금 조기 종료로 주요 완성차 업체 및 고객사의 보수적 재고 운영이 지속되며 전기차용 전지재료 수요 둔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생명과학부문의 매출은 3371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영업이익은 24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백신, 항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등 주요 제품의 매출이 실적을 이끌었다.
자회사 중 에너지솔루션의 경우 매출 5조5654억원과 영업이익 4922억원을 기록했다. 고객사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매출이 감소했으나, 북미 생산비중 확대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 및 전사의 원가 절감 노력 등으로 북미 생산 인센티브를 제외하고도 영업이익이 흑자를 기록했다.
팜한농은 매출 2424억원, 영업이익 125억원을 기록했다. 작물보호제, 종자 등 주요 제품의 매출은 견조하였으나 원료가 상승으로 전년대비 수익성은 하락했다. 하반기는 계절적 요인으로 매출 감소가 예상되나, 작물보호제 매출 확대로 전년대비 수익성은 개선될 전망이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향후 선제적인 사업·자산 효율화, 고성장·고수익 사업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 첨단소재부문의 고객 다변화를 통한 유의미한 물량 성장, 차별화된 기술력 바탕의 미래 수요 확보 등을 통해 견조한 중장기 성장성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