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로써 2026년 적용 예정인 한국의 최저임금(1만320원)으로 책정된 내년 한국 최저임금을 182원 앞지르게 됐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날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중앙최저임금심의회는 심의를 열고 현재 1055엔인 전국 평균 시급을 63엔(6%) 인상한 1118엔(약 1만502원·7일 오후 3시 기준)으로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002년 지금과 같은 심의 방식이 도입된 이래 가장 큰 폭의 인상이다.
최저임금은 지역별로 상이하다. 먼저 도쿄도가 1163엔으로 가장 높고, 아키타현이 951엔으로 가장 낮다. 각 도도부현은 중앙 기준을 토대로 자체 인상안을 결정하게 되며, 모든 지역에서 최저임금이 1000엔을 넘길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본의 최저임금은 엔화 약세와 인상률 둔화 등 영향으로 2023년부터 한국에 역전됐지만, 올해 대폭 인상을 계기로 다시 순위가 뒤집히게 됐다. 실제로 2025년 8월 기준 환율(약 146.84엔/달러)을 적용하면 1118엔은 약 7.61달러, 우리 돈으로 약 1만508원 수준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를 두고 “임금 인상은 일본성장 전략의 핵심”이라며 “중앙 기준을 초과해 인상하는 도도부현에는 정부 차원의 집중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 정부는 디플레이션 탈출과 임금-물가 선순환 구조 정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인상도 그 일환으로 추진됐다.
한국 고용노동부는 “일본 최저임금 인상은 주시할 사안이며, 양국 경제 상황이 다른 만큼 단순 비교는 어렵다”면서도 “한국 내 저임금 구조 해소를 위해 근로시간 단축, 생계비 지표 연동 등 추가적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신들도 이번 인상에 주목했다.
블룸버그통신(Bloomberg)은 “일본 정부가 실질임금 하락과 내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최저임금을 강하게 끌어올린 것”이라며 “이례적으로 정치적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닛케이도 “최저임금 1000엔 시대의 본격 도래”라고 전하는 동시에 “엔저와 물가 상승 압박 속에 일본 정부가 임금 주도 성장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