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현지 시간) 팔레스타인인들을 위한 인도적 지원 물품을 공중 투하하던 요르단 공군 C-130 수송기에서 바라본 가자지구 가자시티에 난민 천막촌이 설치돼 있다. 사진=뉴시스
▲ 7일(현지 시간) 팔레스타인인들을 위한 인도적 지원 물품을 공중 투하하던 요르단 공군 C-130 수송기에서 바라본 가자지구 가자시티에 난민 천막촌이 설치돼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프랑스·영국·캐나다에 이어 호주가 오는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승인하겠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나서는 서방국가가 잇따르면서 이스라엘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11일(현지시간) 호주 시드니모닝헤럴드(Sydney Morning Herald)와 BBC 등 외신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진행된 내각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두 국가 해법은 중동에서 폭력의 악순환을 깨고, 가자지구 분쟁과 고통, 기아 사태를 종식할 최선의 희망”이라며 이같이 발표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번 결정은 비무장화와 선거 실시 등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로부터 받은 약속에 기반한 것”이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자신들의 국가를 가질 권리를 인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가자지구의 기아 위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프랑스·영국·캐나다도 오는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 25일 엠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자신의 SNS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프랑스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것”이라면서 “곧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이 엄숙한(solemn) 발표를 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이스라엘 정부가 가자지구의 참혹한 상황을 종료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하고, 휴전에 합의하며, 요르단강 서안 병합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장기 평화 프로세스에 전념할 경우를 제외하고, 9월 유엔 총회를 앞두고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미국은 팔레스타인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을 모양새다.
 
지난 8일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미국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으며, 이날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무장관과 이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Reuters)에 따르면, 밴스 부통령은 기자들에게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계획이 없다. 팔레스타인에 제대로 된 정부가 없는 상황에서 국가를 인정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이같이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을 제외하고 대다수의 서방국들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 인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수치스럽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지난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남부 기습 공격을 언급하며 “만약 시드니나 멜버른이 이스라엘이 경험한 유형의 테러를 당했다면 호주도 우리와 같은 대응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최근 가자지구 전역의 통제권 장악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으며, 에얄 자미르 이스라엘군 참모총장 등 군 수뇌부가 인질 안전 우려로 반대했지만, 극우 인사들이 대거 포함된 내각에서 점령안을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