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직접적으로 금리 인하를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고용 둔화와 경기 하방 위험을 강조한 만큼 시장은 이를 강력한 금리 인하 신호로 해석된다.
22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미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심포지엄 마지막 연설에서 “고용 지표의 안정성은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고려할 수 있게 한다”며 “정책이 긴축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조정을 정당화할 수 있다(may warrant adjusting our policy stance)”고 말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내달 16~1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는 발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이날 연설 직후 뉴욕 증시는 급등했고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특히 파월 의장은 현재 노동시장이 “수요와 공급 모두에서 눈에 띄게 둔화하며 묘한 균형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7월 고용 지표를 언급하면서 최근 일자리 증가세가 예상보다 크게 약화됐다고 지적한 뒤 “이런 비정상적 상황은 해고 급증과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는 유지했다.
또한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일 수 있지만, 가격 압력이 장기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위험은 반드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설에서 파월 의장은 지난 2020년 도입한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사실상 폐기한다고 공식화했다. 그는 “당시 전략은 현실에서 무의미했고 이후의 인플레이션은 결코 의도(makeup)된 것도, 온건한 것도 아니었다”며 2% 물가 목표를 재확인했다.
이는 향후 인플레이션이 목표를 넘어설 경우 과거처럼 인내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관련 문구도 바뀌었다. 과거 전략은 ‘고용이 최대 수준에 못 미치면 일정 기간 2% 초과 인플레이션을 용인한다’는 내용이었지만, 이제는 고용 과열이 감지되면 선제적 금리 인상도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파월 의장은 “노동시장 과열이나 다른 요인이 물가 안정에 위협이 된다면 선제적 조치가 정당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악관의 금리 인하 압박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파월 의장은 “연준 위원들은 데이터와 경제 전망, 위험 균형에 기반해 독립적으로 판단할 것이며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