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이날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린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의 배경으로 일본 내 임금 상승세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날 우에다 총재는 임금 상승과 함께 일본의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시급한 문제라고 짚었다. 이는 1980년대부터 진행된 인구 구조 변화가 현재 심각한 노동력 부족과 지속적인 임금 상승 압력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 기업과 노조가 매년 봄 진행하는 임금협상(춘투)에서는 3년 연속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이 이뤄졌다. 지난 7월 일본 소비자물가(신선 식품 제외)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3.1% 상승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3.0%를 상회하는 동시에 일본은행의 목표치 2%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우에다 총재는 일본의 노동 연령 인구 감소에도 지난 기간 임금 상승이 정체된 것과 관련해 “굳어진 디플레이션 기대감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임금 상승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큰 폭의 부정적 수요 충격만 없다면, 노동시장은 계속 긴축 상태를 유지하며 임금에 상승 압력을 가할 것”이라며 “우리는 이러한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공급 측면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통화 정책 결정에 지속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BOJ는 지난해 3월 17년 만에 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다. 이후 올해 1월 기준금리를 0.5% 수준까지 올린 뒤 지난 7월까지 4회 연속 동결했다.
하지만 우에다 총재는 지난 7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경제·물가 정세의 개선에 따라 계속해서 정책금리를 올려 금융완화 정도를 조절할 것”이라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