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조선업 협력이 이번 회담의 주요 카드로 부상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견제에 한국이 동참하기를 요구하지만, 이 대통령은 중국과의 긴장 완화(less confrontational)를 중시한다. 한국은 조선업 협력을 전략적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고 이같이 보도했다.
이어 “미국은 일본·한국 등 동맹국과 선박 정비 역량을 분담해 분쟁에 대비하려 하고, 한국 조선사들은 미국의 상업·방위 현대화를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뉴욕타임스(NYT)는 두 정상의 공통점으로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고 김정은과의 회담에 관심이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도, 동맹의 70년 역사 속에서 중국·대만 문제를 두고는 우선순위가 갈린다고 지적했다.
NYT는 “미국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통해 중국 견제에 활용하려 하지만, 한국은 대북 방어 취약성과 대만 분쟁 연루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한국 내 자체 핵무장 여론을 소개하며, 미국의 방위비 증액 요구가 핵 보유 지지론을 자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NBC는 이번 회담이 한국의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 펀드 세부 논의를 구체화하는 자리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1500억달러는 ‘마스가’ 조선 협력 펀드로 명명됐으며, 투자 성격은 직접투자보다 대출·보증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NBC는 “양국에 더 중요한 주제는 동맹의 미래”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병력을 한반도 밖 임무에도 적극 활용하려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세, 주한미군 역할 변화, 한국 국방비 지출 등 동맹 재편 의제가 논의될 것으로 내다봤다. WSJ는 “마스가가 한국 내에서 국가적 구호처럼 자리 잡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호소력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2027년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비하려면 해군력 격차를 보강해야 하고, 한국 조선업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NYT는 별도로 워싱턴DC에서 주한미군의 한반도 외 활용이 어렵다면 병력 감축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연간 100억 달러, 현재의 9배에 달하는 주둔비 부담을 요구한 사실도 전하며, 이러한 청구서가 한국 내 자체 핵무장 담론을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방일 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했다.
재미교포 만찬 간담회를 시작으로 방미 일정을 이어가는 그는 25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에 나서고, 26일에는 한화그룹이 인수한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를 방문한다. 이 자리에는 J.D 밴스 미국 부통령도 동행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28일 새벽 귀국길에 오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