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캘리포니아주 롤랜드하이츠의 한 아시아 식품점에 식료품들을 가득 실은 쇼핑 카트가 서 있다. 사진=뉴시스
▲ 미 캘리포니아주 롤랜드하이츠의 한 아시아 식품점에 식료품들을 가득 실은 쇼핑 카트가 서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미국 식품업계가 수산물과 과일·채소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가격 급등을 막기 위해 고율 관세 예외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식품업계는 관세 전체를 반대하기보다는 품목별로 예외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수산물 무역 조합인 미국수산협회(NFI)의 개빈 기븐스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수산물은 다른 식품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우리는 전체 수산물에 대해 면제(exemption for all)를 원한다”고 밝혔다.
 
기븐스 CSO는 미국에서 소비되는 수산물의 85%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새우는 소비량의 90%를 해외에서 들여오는데 3분의 1이 인도산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인도에 50% 관세가 부과될 경우 새우 가격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급등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미국의 수산물 무역 적자는 240억달러(약 33조원)에 달한다. 어획량은 이미 지속 가능한 최대 생산량에 도달했으며, 규제 탓에 양식업 확장도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확인됐다.
 
농산물 단체도 같은 입장이다.
 
레베카 애드콕 국제신선농산물협회(IFPA) 대관 담당 부회장은 “관세 논의에서 과일과 채소를 제외해달라”고 요구했다. 현재 미국의 과일·채소 수입액은 360억달러(약 50조원)에 달하며, 주요 공급국은 멕시코·페루·캐나다 등이다.
 
식품산업협회(FMI)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이 수입 비중은 1990년 35%에서 현재 90%로 급증했다. 앤디 해리그 FMI 부회장은 “관세는 가격을 올리도록 설계돼 있다”며 “일부는 눈에 띄는(noticeable) 수준의 가격 인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미요식업협회(NRA)도 무역대표부에 보낸 서한에서 “제철 신선 식재료에 관세가 부과되면 음식 가격이 급등한다”며 면제를 요구했다.
 
다만 관세 예외를 위한 공식 절차가 없는 만큼 성사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그럼에도 일부 품목은 예외가 인정될 수 있다.
 
미국은 브라질에 관세 50%를 부과했지만, 오렌지주스와 브라질너트 등은 면제됐다. 또 USMCA 협정에 따라 멕시코와 캐나다산 식품도 관세 부담을 덜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최근 커피·망고·파인애플 등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은 관세 예외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전반적인 보호무역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톰 매드레키 소비자브랜드협회 부회장은 FT에 “1990년대식 자유무역 회복을 주장하는 것은 어리석고 잘못된 방향”이라며 “철학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그 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