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정책 연설에서 “한국이 과거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기조를 가져왔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제는 과거와 같은 태도를 취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며 “안보 동맹과 경제 동맹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과 국익 중심 실용 동맹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동맹을 안보 환경에 발맞춰 더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현대화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방비 증액 계획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늘어난 국방비는 21세기 미래전에 대비해 반드시 승리할 수 있는 스마트 강군을 육성하는 데 쓰일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대한민국의 국방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고, 양국 간 첨단 방산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변화하는 안보환경과 위협에 철저히 대응할 수 있도록 양국의 능력과 태세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는 “핵확산금지조약(NPT)상 의무는 철저히 준수돼야 하며, 이는 남북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한반도 평화 정착과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에 비핵·평화와 공존의 길이 열릴 때 한미동맹은 글로벌 차원으로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며 “한국 내 약 20만 명의 미국인과 2만8500명의 주한미군이 더욱 안전해지고, 양국 국민의 일상도 번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조선 협력을 사례로 들며 양국의 연계를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 1위 경쟁력을 가진 K-조선이 미국 조선업 르네상스를 열어갈 것”이라며 “안보와 경제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도전에 양국이 첨단기술 동맹으로 응전하겠다”고 밝혔다.
문화적 교류도 언급됐다. 이 대통령은 “넷플릭스를 통해 방영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음악을 즐기며 한미 청년 세대는 이미 하나가 되고 있다”며 “양국 국민이 신뢰를 바탕으로 더 번영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한미동맹의 새로운 역사를 함께 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과의 협력도 함께 강조했다. 그는 “한미동맹의 새로운 역사에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파트너가 일본”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한미일 협력을 긴밀히 다져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공동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