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9일 통계청의 ‘7월 산업활동 동향’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는 114.4(2020년=100)로 전월 대비 0.3% 올랐다.
앞서 산업생산은 지난 4월(-0.7%), 5월(-1.1%) 감소한 이후 6월(1.5%) 증가 전환한 바 있다.
부문별로는 먼저 광공업이 자동차(-7.3%)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전자부품(20.9%), 기계장비(6.5%)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 대비 0.3%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금융·보험(-6.0%) 등에서 감소했으나, 도소매(3.3%), 정보통신(3.1%) 등에서 증가하며 전월 대비 0.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상품 소비 수준인 소매판매액 지수 역시 전월 대비 2.5% 증가하며 지난 2023년 2월(6.1%)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크게 개선됐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5.4%),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1%),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모두 판매가 증가했다.
소매업태별로는 면세점(-20.5%), 슈퍼마켓 및 잡화점(-2.4%) 등 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줄었으나 승용차 및 연료 소매점(7.1%), 무점포소매(4.6%) 등에서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2차 추경에 포함되었던 민생회복 소비쿠폰, 으뜸효율 가전 환급 사업 등의 영향으로 재화 소비는 물론 서비스업의 유통, 외식, 숙박, 미용 등 개인 서비스 이용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특히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7.9% 증가하며 지난 2월(21.3%) 이후 5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18.1%), 일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3.7%)에서 투자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끼쳤다.
건설업 생산 수준인 건설기성(불변)은 토목(10.1%)에서 공사실적이 늘었으나 건축(-4.8%)에서 줄어 전월 대비 1.0% 감소했다.
다만 건설수주(경상)는 기계설치 등 토목(-14.6%)에서 수주가 줄었으나 주택 등 건축(45.7%)에서 수주가 늘어 전년 동월 대비 22.4% 증가했다.
현재 경기 상황 수준인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소매판매액지수, 건설기성액 등이 증가했으나 내수출하지수, 수입액 등이 감소해 전월 대비 0.1p(포인트) 떨어졌다.
향후 경기국면 예상 수준인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기계류내수출하지수, 수출입물가비율이 감소했으나 코스피, 장단기금리차 등이 증가해 전월 대비 0.5p 올랐다.
한편 소비심리도 5개월 연속 개선되며 지난 2018년 1월 이후 7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1.4로 전월 대비 0.6p 증가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소비 개선과 수출 호조 지속 등에 현재경기판단 지수가 7p나 오르며 전체 소비심리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며 “반대로 향후경기전망 지수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향후 수출 부진 우려 등에 하락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