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29일 국방부 본관 대회의실에서 이두희 국방부 차관이 주관하는 '국방 인공지능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국방부
▲ 국방부는 29일 국방부 본관 대회의실에서 이두희 국방부 차관이 주관하는 '국방 인공지능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국방부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군이 국방 인공지능(AI) 기술을 고도화해 장관의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AI 정책참모’와 전장에서 지휘관의 결심을 보좌하는 ‘AI 전투참모’ 체계를 본격 구축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29일 이두희 차관 주재로 열린 ‘국방 인공지능 회의’에서 이러한 계획이 논의됐다. 

이번 회의에는 국방부 자원관리실장과 전력정책국장, 합참 지휘통신부장, 육군 정책실장, 해·공군 정보화기획참모부장, 국방연구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국방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방 AI 정책을 논의 단계에서 실행 단계로 전환하고, 군 전반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각 부서에 흩어져 있던 국방 AI 관련 업무를 첨단전력기획관실로 일원화한다. 

기존 군 장성이 맡아온 첨단전력기획관 직책은 민간 전문가도 응모할 수 있는 ‘개방형 공모직’으로 전환해 다음 달부터 공모 절차에 들어간다.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민간의 첨단 기술을 군에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단기적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행정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는 AI 정책참모와 전투참모 체계를 완비해 정책 결정과 전장·지휘에 인공지능이 실질적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CCTV 감시체계, 유무인 복합체계 실증, 군·산·학 협력센터를 통한 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등도 추진 대상에 포함됐다.

또 국방 데이터의 민간 활용성을 높여 첨단 AI 기술이 국방 분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간 인재 발굴에도 나선다. 

국방부는 2022년부터 국방 AI 경진대회를 매년 열고 있으며, 올해는 민·군 협력팀을 구성해 민간의 기술이 군에 직접 전파되도록 운영할 예정이다.

이두희 차관은 “병역자원 부족 등 국방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절박한 심정으로 국방 인공지능 혁신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