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연체 대출은 총 230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1116억원)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한 규모로, 6개월 만에 연체 대출이 12000억원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1년 전과 비교해도 연체 대출은 두드러진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상반기 말 5대 은행의 건설업 연체 대출은 총 1272억원으로, 한 해 동안 80%가 넘는 증가율을 기록했다.
건설업 연체 대출 증가의 배경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건설업 불황이 자리잡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과 미분양 주택 증가가 맞물린 결과로 관측된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말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건설업 대출채권 잔액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9271억원 감소한 20조1015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도·소매업과 제조업 대출이 1조원 증가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투데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통상적으로 건설업계는 계절적 요인으로 2분기부터 착공과 인력 투입이 증가해 자금 수요가 다른 시기와 비교해 크게 증가한다”며 “지난 2년간 상반기에 건설업 대출 잔액이 증가한 것을 고려해볼 때 건설업계의 자금 경색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향후 건설업 연체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8일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연간 건설투자가 8.3%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건설경기가 3분기쯤 바닥을 친 이후 괜찮아질 줄 알았는데 지난 5월 예상보다 건설투자가 더 나빠졌다”며 “건설경기가 만약 현재 상황인 -8.3%가 아니라 0%라고 하면 (올해 성장률이) 2.1이 됐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