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김성천·이민지·이승재·전은영·장석웅·정대화 국교위원은 4일 성명서를 내고 “석고대죄하는 마음으로 국가교육위원직을 사퇴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국교위는 발족 후 3년 내내 국민적 비판을 받는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하더니 급기야 이 위원장의 매관매직 파문으로 이제는 반교육적 부패 기관으로 전락했다”며 “적절한 사과의 말을 찾기 어려운 참담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교위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본연의 책무를 수행하지 못한 것에 대해, 내부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운영 난맥상이 거듭된 것에 대해,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을 제대로 수립하지 못한 것에 대해, 지난 총선에 국교위원들이 무더기로 특정 정당에 공천 신청해 염불보다 잿밥에 눈이 어두웠던 것에 대해, 다수의 위원이 극우 편향적 관점을 가진 리박스쿨에 연루된 것에 대해 진심으로 국민들께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일 김건희 여사에게 인사청탁을 목적으로 10돈짜리 금거북이를 건넨 혐의로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수사 대상이 된 이 위원장이 사퇴를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특검은 김 여사 일가의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모친 최은순씨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던 중 금고에 보관돼 있던 금거북이와 이 위원장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국교위원들은 전날(3일) 전체 긴급회의를 소집해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나 별다른 합의안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성천 국교위원 등 6명은 “원장이 매관매직 혐의로 압수수색을 당한 후 잠적하듯 사퇴한 상황에 대해서는 적절한 사과의 말을 찾기 어려운 참담한 심정”이라며 “국교위의 존속 자체가 위협받는 존폐의 위기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이어 “형식적 사과문을 내는 것에는 이견이 없었지만, 늘 그랬듯이 국교위의 거듭된 파행을 극복하고 근본적인 혁신을 마련하는 대책에서는 현저한 의견 차이가 존재했다”고 부연했다.
또한 “현 사태를 바라보는 관점이나 지난 3년간의 국교위 상황에 대한 평가에는 건널 수 없는 간극이 있었고 쉽게 좁혀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 다시 확인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국교위 모든 의원들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지난 3년간의 족쇄에서 벗어나 새 술을 새 부대에 담는 마음으로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한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 교육의 미래를 활기차게 열어가는 출발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현 사태에 책임있는 국가교육위원 모두의 총사퇴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