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4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건전성 악화의 원인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은 금융소비자 고려보다 단기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경기에 편중한 고위험 여신 운용을 지양하고 지역 내 서민, 중저신용자, 소상공인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에 집중해달라”며 “상품 설계와 포트폴리오 기획 단계부터 판매와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의 관점으로 득실을 꼼꼼히 따져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특히 이 원장은 저축은행에 하반기 건전성 관리를 당부하며, 건전성 강화 시 인센티브를 논의할 수 있다는 유인책도 언급했다.
그는 “하반기에도 자체 부실 PF 정리와 함께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과 자본 확충 등을 통해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고 나면 영업구역 제한 완화나 M&A 규제 완화 논의가 탄력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보이스피싱, 불법 계좌개설 등 금융 범죄 및 사고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 강화도 당부했다.
그는 “1금융권 내부통제가 강화될수록 2금융권 이용자 대상 금융 범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달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으로 저축은행 거래금액이 커지며 고객 피해도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원장은 업권이 추진하고 있는 비대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안면인식시스템과 안심차단서비스 등을 적극 도입하라고 주문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저축은행 CEO들도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고 서민들의 금융애로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에서 제안된 의견 및 건의 사항은 충실하게 검토해 향후 감독·검사업무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업계의 애로사항 해소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해서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