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 상정과 관련해 신상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기봉 기자
▲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 상정과 관련해 신상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기봉 기자
투데이코리아=이기봉 기자 |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었다.
 
국회는 11일 오후 본회의를 열고 권성동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상정하고 재석의원 177명 중 찬성 173명, 반대 1명, 기권 1명, 무효 2명으로 가결했다.
 
김건희 특검은 2022년 1월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으로부터 당시 윤석열 후보가 대선에서 당선 시 통일교의 정책을 국가 정책으로 추진하고, 정부 예산 및 조직 인사 등을 통해 통일교 대규모 프로젝트와 행사를 도와달라는 제안을 받고 1억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권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한 바 있다.
 
특히 체포동의안 표결 전 신상 발언에 나선 권성동 의원은 특검이 제기한 주장은 모두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공여자가 1억원을 전달했다는 그날은 제가 그와 처음으로 독대한 자리”라며 “상식적으로 누가 처음으로 독대한 자리에서 불법적인 정치자금을 주고받을 수 있겠는가”라고 운을 뗐다.
 
이어 “손에 쥔 것은 공여자의 허위 진술뿐인 특검은 피의사실을 위법적으로 공표하고 가짜뉴스를 확산시켜 망신 주기와 낙인찍기 등 여론전에 나섰다”며 “13시간 조사에서 대질 신문도 요청했지만, 특검은 이를 거부하고 조서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특검이 자신을 유죄로 결론 내리고 수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도 똑같은 고초를 겪었지만 구속영장 기각에 이어 대법원까지 모두 무죄였다”며 “모래성처럼 부실한 특검의 수사는 진실의 파도 앞에서 휩쓸려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민주당 정권의 수사 기관들은 민주당에서 출세하기 위해 불법적이고 허술한 수사를 반복하고 있다”며 “권력에 고개 숙이고 법의 잣대를 왜곡할수록 민주당에서 출세한다”고 꼬집었다.
 
권 의원은 3대 특검이 수사하고 있는 사안은 다르지만, 정치 보복 수사라고 명하기도 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3대 특검의 이름은 다르지만, 민주당 주최 정적 사냥 대회 참가자라는 점에서 같다”며 “민주당은 수사·기소 분리를 부르짖으며 검찰은 해체했지만 특검에게는 수사권과 기소권을 모두 쥐여주고 더 강한 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검법 개정에 대한 여야 합의도 하루 만에 번복했다”며 “민주당의 모순적 행보는 특검이 자신들의 지휘를 받는 정치적 흉기에 불과하다는 자백”이라고 언급했다.
 
▲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상정된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이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퇴장했다. 사진=이기봉 기자
▲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상정된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이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퇴장했다. 사진=이기봉 기자
아울러 권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체포동의안에 찬성해줄 것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는 국민 앞에서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선거 때는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고 공약해놓고 선거가 끝나자마자 뒤로 숨어버린 이재명의 민주당과는 달라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의 체포동의안 찬성표는 저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며 “저에 대한 체포동의안에 기꺼이 찬성표를 던져달라”고 덧붙였다.
 
▲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3대 특검법 개정안이 상정됐다. 사진=이기봉 기자
▲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3대 특검법 개정안이 상정됐다. 사진=이기봉 기자
한편, 본회의에서는 3대 특검법의 개정안도 국민의힘이 불참한 상태에서 각각 가결됐다.
 
김건희 특검법 개정안은 재석의원 168명 중 찬성 168명, 내란 특검법 개정안은 재석의원 165명 중 찬성 163명, 기권 2명, 순직해병 특검법 개정안은 재석의원 168명 중 찬성 168명으로 통과됐다.
 
이번에 통과된 특검법 개정안은 3대 특검의 수사 기간 연장을 30일씩 두 차례에서 세 차례로 확대하고, 특검 인력 증원, 내란 재판의 녹화 중계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와 관련해 전날(10일) 여야 원내대표가 수사 기간의 추가 연장 없이 인력 증원을 최소화하기로 합의했으나, 민주당에서 일방적으로 파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