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중구 부둣가에 수출 대기 중인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 인천 중구 부둣가에 수출 대기 중인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올해 국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따라잡힐 전망이다. 대만의 고속성장과 한국의 저성장이 맞물린 결과로 관측된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3만8066달러)에 뒤처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달 22일 정부가 제시한 올해 명목 GDP 성장률 전망치와 대만 통계청이 이달 10일 제시한 올해 1인당 GDP 전망치를 근거로 단순 비교한 것이다.
 
만약 전망이 현실화되는 경우 2003년 한국이 1만5211달러를 기록해 대만(1만4041달러)을 제친 이후 22년 만에 역전당하는 것이다.
 
앞서 양국의 1인당 GDP는 1만달러 가까이 벌어졌으나, 이후 격차가 빠르게 줄어들었다. 지난해 한국은 3만5129달러, 대만이 3만3437달러로 차이가 크게 감소했다.
 
이같은 격차 감소는 반도체 수출을 중심으로한 대만의 고속 성장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올해 2분기 대만의 실질 GDP는 작년 동기 대비 8.01% 증가해 지난 2021년 2분기(8.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를 반영해 대만 통계청은 지난달 15일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0%에서 4.45%로 대폭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 전망치는 2.81%로 제시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올해 2분기 실질 GDP는 전 분기 대비 0.7%, 작년 동기 대비로는 0.6%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가 제시한 올해와 내년의 실질 GDP 성장률은 각 0.9%, 1.8%에 그칠 전망이다.
 
이에 따라 1인당 GDP 4만달러 또한 대만이 한국보다 먼저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만 통계청은 내년에 자국 1인당 GDP가 4만1019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은 정부가 제시한 내년 경상 성장률 전망치 3.9%를 대입해도 1인당 GDP가 3만8947달러에 그칠 것으로 추정된다.
 
심지어 실질 GDP 성장률만 예상하는 한국은행의 내년 전망치는 1.6%로, 정부가 제시한 1.8%보다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1인당 GDP는 이보다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환율이 1,400원대에 육박하는 상황이 길어지면 대만과의 격차가 더 확대될 여지도 존재한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인공지능(AI) 붐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대만 테크 기업들이 국내 투자도 공격적으로 하고 있다”며 “대만 잠재성장률이 3%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국은 잠재성장률이 올해 2% 미만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대만의 소득 격차도 갈수록 더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테크 기업들의 위상과 역할이 급격히 위축되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며 “대만 기업들을 따라잡기 위한 전략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