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7일 교육부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실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학폭 피해 응답률은 전년 대비 0.4% 포인트(p) 증가한 2.5%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초4~고3 전체 학생 약 397만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올해 결과는 교육부가 전수 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피해 응답률은 2019년 1.6%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수업 시행으로 2020년에는 0.9%로 감소했으나 2021년 등교 수업 재개 이후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5%, 중학교 2.1%, 고등학교 0.7% 등이다. 특히 초등학교는 5년 연속 증가해 올해 5%를 돌파했다.
피해 유형으로는 언어폭력이 39%로 가장 많았으며, 집단 따돌림 16.4%, 신체폭력 14.6%, 사이버폭력 7.8%, 성폭력 6%, 강요 5.4%, 스토킹 5.3%, 금품갈취 5.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전년과 비교해 언어폭력(0.4%p)과 신체폭력(0.9%p)은 감소했으나, 집단 따돌림(0.9%p)과 사이버폭력(0.4%p)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가해 응답률도 전년 대비 0.1%p 증가한 1.1%로 집계됐으며 폭력 목격 응답률 역시 전년 대비 1.1%p 증가한 6.1%로 집계됐다.
다만, 교육부는 학폭 사안 접수 건수는 줄어든 점 등을 토대로 실제 학폭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학폭 사안 접수 상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가 낮고 실제 사안 접수 건수를 봐도 이번에 감소했다”며 “다수에게 피해를 주는 사이버 폭력 증가, 학부모의 민감도가 높아진 것 등 여러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미한 학폭 사안이 많은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교내 ‘관계회복 숙려제도’ 도입을 추진하는 등 해결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억제를 위해 범부처와 협력해 예방 교육을 확대하고, 사이버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가해 학생 조치 제도 개편과 특별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해숙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국장은 “학교 공동체의 신뢰 제고와 사회정서 회복이 시급하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학생들이 일상적 갈등을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변화되는 사이버폭력 양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