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이찬진 금감원장이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여신금융업계 CEO들과 만남을 가졌다. 사진=투데이코리아
▲ 16일 이찬진 금감원장이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여신금융업계 CEO들과 만남을 가졌다. 사진=투데이코리아
투데이코리아=김지훈 기자 | “결제 시장에 있어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다각적인 성장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16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진행된 여신전문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및 여신금융협회장 간담회에서 “보다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현장에는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을 비롯해 14개 여신금융전문회사 CEO가 참석했다.

이 원장은 이 자리에서 발생한 금융권의 해킹 사고와 관련해 정보 보호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최고 경영진이 장기적인 시각에서 금융 소비자의 정보 보호를 직접 챙겨주길 바란다”며 “최근 금융권의 사이버 침해 사고를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단기 비용 절감을 통한 단기 실적에만 치중한 반면 정보 보안을 위한 장기 투자에는 소홀한 결과는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전 국민의 정보를 다루는 점에서 정보보호에 깊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대표들은 한 번의 사고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제로 톨러런스(무관용·Zero-Tolerance) 원칙을 가지고, 직접 사이버 보안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재점검하는 등 정보보호 의무를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신전문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신전문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또한 업무 패러다임을 ‘소비자 친화적’으로 전환하는 등 소비자의 관점에서 업무 관행을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이 원장은 “최근 해킹 침해 사고 등 긴급 상황에서 전화 연결의 어려움, 복잡한 절차 등으로 카드 사용 중지 및 재발급 등이 어렵다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며 “소비자가 방어권을 적시에 행사할 수 있도록 앱·홈페이지를 개편하고 콜센터를 확대 운영하는 등 소비자 접근 채널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소외계층 금융지원을 강화해 주길 바란다”며 “장기 연체 차주의 소액채권 등에 대해서는 소멸시효 연장을 자제하고, 고령층의 카드 포인트 사용을 활성화는 등 소비자를 배려하는 업무방식을 고민해달라”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 통제 강화와 부실 채권 정리 등 건전성 관리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구했다.

이 원장은 “영업 경쟁 과정에서 중고차 대출 사기 등 금융 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며 “내부 통제 체계를 보다 내실 있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어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채무 구조도를 통해 금융사고 예방 기능이 충실히 작동될 수 있도록 신경 써 달라”고 덧붙였다.

특히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관리계획도 차질 없이 이행하고 부실이 우려되는 자산에 대해서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선제적 대응을 요구했다.

이외에도 그는 현장에서 여전사의 투자 영역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원장은 “금융감독 당국도 신기술금융업에 대한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며 “각종 보고 신고 의무 중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부분을 간소화하는 등 여전사의 업무 부담 완화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현장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