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티빙과 웨이브는 19일 서울 SJ쿤스트할레에서 광고주 대상 통합 광고 플랫폼 설명회 ‘New Wave 2025’를 개최했다.
이날 양사는 양사 광고 통합을 통한 핵심 경쟁력 등 새로운 광고 생태계를 소개했다.
특히 티빙과 웨이브는 통합 광고상품으로 MAU(월간활성화이용자수) 1000만명 이상에게 도달 할 수 있는 강점과, 2개월 기준 18~28세 GenZ(Z세대) 소비자의 60% 29~44세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 40%의 도달율을 제시했다.
조성현 티빙 CBO는 “OTT는 이제 부가 채널이 아니라 광고 시장의 메인 무대”라며 “티빙과 웨이브 통합은 월간 1000만 이상의 이용자와 라이브 기반의 차별화된 서비스로 광고주에게 강력한 도달과 타깃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좋은 콘텐츠, 좋은 브랜드 메시지를 티빙과 웨이브에 실어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사가 보유한 국내 프리미엄 콘텐츠 역시 강점으로 제시됐다.
방송통신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통합 광고 플랫픔을 통해 송출되는 지상파, CJ ENM, 종편 채널 등의 시청 점유율은 7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J메조미디어 조사 결과, 국내 OTT 이용자들은 국내 드라마 콘텐츠를 가장 많이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어 국내 영화, 해외 영화, 국내 예능 순이었으며, 국내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은 모습이었다.
주다솔 CJ메조미디어 디지털기획팀 스페셜리스트는 “티빙 구독 이유 1위가 콘텐츠의 다양성, 2위가 오리지널 콘텐츠의 매력이었다”며 “티빙은 국내 드라마 콘텐츠 제작, 투자 비용을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조 CBO는 “인플루언서 확산은 금방 휘발되어진다는 문제가 있다”며 “전문가들이 제대로 만든 콘텐츠 활용해 브랜드 팬덤을 확산시키면 어떨까 싶다”고 제안했다.
특히 양사는 이 같은 프리미엄 콘텐츠를 바탕으로 집중적으로 타겟팅 할 수 있어, 이를 디지털 광고 플랫폼 경쟁력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콘텐츠 시청 이력 및 CJ가 보유한 커머스·라이프스타일 데이터를 연계해 광고주의 고가치 소비자에 대한 정밀한 접근을 지원한다.
아울러 구독자 포함 모든 이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는 점도 광고주에게 폭넓은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정은 웨이브 CMO(최고마케팅책임자)는 “광고 시장은 단순 노출을 넘어 데이터와 성과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통합 광고 플랫폼을 통해 광고주와 업계에 지속 가능한 성장 엔진,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조 CBO는 “K콘텐츠가 글로벌리 확산되고 있다”며 “저희도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데 광고사업이 기여할 수 있겠구나란 마음으로, 이런 결과가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자양분이 된다는 마음으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