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8월 말 156조664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과 비교해 1조3053억원이 증가한 수준으로, 올해 3월 이후 증가세가 크게 가팔라지고 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대출 규모도 크게 확대되며 올 상반기와 대조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5대 은행의 8월 말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668조9622억원으로, 한 달 동안 3조2763억원이나 증가하며 올해 들어 월간 기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6·27 부동산 대책 이후 가계대출 영업에 제한이 생기자 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을 통해 새로운 수익성 창출에 나서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정부의 규제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세는 7월과 8월 두 달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주문하는 ‘생산적 금융’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당국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며 은행들도 이에 맞춰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등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중소기업대출의 금리도 낮아지고 있다. 은행연합회의 8월 공시한 통계에 따르면, 4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보증서 담보 기준) 평균금리는 지난 1월 대비 0.86%p 하락한 4.07%를 기록했다.
다만, 경기 악화로 중기대출의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우려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95%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5월(0.95%) 이후 최고 수준으로, 6월에 0.74%까지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아울러 기업대출의 경우 가계대출과 비교해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가 더 높게 적용된다는 점도 건전성 위험 요소로 꼽힌다.
이에 정부는 은행권의 위험가중치 관련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19일 금융위원회는 ‘제1차 생산적 금융 대전환 회의’를 통해 은행 보유 기업 주식의 위험가중치를 기존 400%에서 250%로 낮추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 ‘자본 규제 합리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투데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기업대출 공급 확대를 위해서는 관련 규제의 손질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와 함께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을 선별하는 능력이 향후 수익 창출에 결정적 요소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주요 시중은행은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이달 19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500억원 규모의 보증서 대출 지원책을 발표했다.
신한은행 역시 명절 연휴를 맞이해 자금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15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나금융도 최근 미국 관세 피해 기업에 50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