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지난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Bloomberg)에 따르면, 필립 아커만 인도 주재 독일 대사는 최근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 메시지에서 “우리의 이민 정책은 신뢰할(reliable) 만하고 현대적(modern)이며 예측 가능하다(predictable)”며 “우리는 규정을 하룻밤 사이에 바꾸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도인들이 독일에서 안정과 ‘훌륭한 직업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커만 대사는 독일의 인구 고령화 문제를 언급하며 매년 수만 명의 신규 이민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독일에서 일하는 인도인들은 평균적으로 독일인보다 더 많은 급여를 받고 있다”며 “이는 인도인들이 사회와 복지에 크게 기여한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독일에 거주하는 인도인은 약 28만명에 이르고, 독일 대학 외국인 유학생의 13%가 인도 출신일 정도로 인도는 주요 인력 공급원으로 자리 잡았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9일 H-1B 비자 수수료를 기존 1000달러(약 140만원)에서 10만달러(약 1억4000만원)로 인상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이 비자의 발급자 가운데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인도인들에게 직격탄이 됐다.
이 때문에 2800억달러(약 392조원) 규모에 달하는 인도 기술 서비스 산업과 수천 개 일자리가 위협에 놓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영국도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같은 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영국 정부가 자국 전문직 비자의 수수료를 전면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일본과 중국 역시 미국발 인재 이탈을 기회로 삼아 글로벌 인재 유치책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인도 정부는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도 전문직 인력의 원활한 이동 보장을 주요 의제로 삼고 있다. 인도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에서 전문직 이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만큼, 미국의 장벽을 대신할 대안을 찾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