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정부는 위기 단계를 격상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27일 대전시 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날(26일) 오후 8시 20분께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이날 오전 6시 30분께 큰 불길이 잡히며 9시간 50분 만에 초진됐다.
이번 화재는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배터리 교체 작업을 위한 전원 차단 중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작업 중인 업체 직원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대전시 소방본부는 170여명의 인원과 소방차 등 차량 63대를 투입했으며, 현재 연기를 빼는 배연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번 진화 작업에 있어 대량의 물 투입 시, 국가자원 데이터 훼손 우려가 있어 이산화탄소 등 가스소화설비를 사용하면서 신속한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진화 작업 중 불길이 재점화돼 배터리를 분리해 방수작업을 했으나 최소한의 물만 사용해야했기에 시간이 소요된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에 쌓여있던 192개 리튬이온배터리 팩 상당수가 연소됐다.
이번 화재로 대전 본원 입주한 일부 정부 서비스가 중단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모바일 신분증과 국민신문고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 등 정부 서비스가 마비됐다.
현재까지도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 정부 24가 원활히 작동되지 않고 있으며 인터넷 우체국 등 우편 서비스 및 우체국 예금·보험 등 금융 서비스도 마비됐다.
이에 정부는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윤호중 장관 주재로 국정자원 화재 발생으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대응 상황판단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면 민원처리의 경우 행정기관을 방문하기 전 해당 서비스 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하고, 현장에서도 지연이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교통민원24 등 일부 서비스는 대체 사이트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TV, 라디오, 긴급재난문자, 행정기관 공지 등을 통해 최신 상황 확인을 부탁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이번 사태의 조속한 복구를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