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인 전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 사진=건설근로자공제회
▲ 김상인 전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 사진=건설근로자공제회
투데이코리아=이지형 기자 | 각종 비위 의혹으로 논란이 일었던 김상인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이 고용노동부의 예비감사를 앞두고 돌연 사임해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설근로자공제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김 전 이사장은 자신과 관련한 의혹들이 지난 23일 언론에 보도되자 다음 날인 24일에 사임서를 제출했다. 

김 전 이사장은 이달 25일부터 여러 의혹과 관련해 노동부 예비감사를 받을 예정이었지만, 27일 사임 처리된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김 전 이사장은 국무조정실 청년위원회 위원의 자신의 지인을 공제회 사내 위원으로 위촉하고 회의비를 지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었다.

또한 직원들의 머리 스타일이나 외모 등을 공개적으로 지적하고 회의 석상에서 비방하는 등 부적절한 언행을 일삼았다는 제보도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김 전 이사장이 자택 인근 업체의 물품을 대량 구매하도록 지시하는 등 사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었다.

이에 공제회는 김 전 이사장의 사임서 제출 후인 26일 긴급 이사회를 소집해 면직 제한 여부를 심의했으나, 재적 이사 10명 중 찬성 5표, 반대 1표, 기권 4표로 부결됐다. 현행 공제회 임원 복무 등에 관한 규정에는 노동부 감사가 명시돼 있지 않기때문이다. 

이용우 의원은 이를 두고 ‘책임회피용 사임’으로 규정하고 “노동부 감사에서 철저히 조사받고 책임져야 할 사람이 사임으로 모든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제회는 즉시 노동부 감사 중에도 의원면직을 제한할 수 있게 규정을 개정해 비위자가 조사받을 수 있도록 제도의 허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김상인 전 이사장은 서울 관악고등학교와 경희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국회 보좌관, 정일통상(주) 대표,  윤석열 대통령취임준비위 전문위원 등을 역임한 인물로 2022년에 취임했다.

다만,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 취임 당시에도 건설업이나 고용노동 분야에서는 특별한 이력이 없다는 점에서 전문성 논란이 일은 바 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지난해 김 전 이사장에 대해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에서 전문성 없는 보은 인사는 반드시 사라져야할 적폐”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