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이스트 전경. 사진=카이스트
▲ 카이스트 전경. 사진=카이스트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국가정보원이 발주한 연구개발(R&D) 과제에서 자료 유출 시도가 적발돼 검찰이 수사 중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지난달 29일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AIS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하며 “단순한 개인의 일탈로 볼 수 없는 심각한 관리 부실이다. 다른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지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맹비판했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12월 연구소 내부에서 유출 의혹 신고가 접수되면서 불거졌다. 

최민희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1월 우주청과 국정원에 유출 의혹을 보고한 연구소는 합동 조사를 진행한 결과 2022년부터 국정원이 발주한 인공위성 연구과제에 참여해온 연구원 A씨가 보안 문서 암호를 해제한 뒤 대량의 연구자료를 개인 PC에 내려받거나 컴퓨터를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하려 한 흔적 등이 드러났다. 

이에 연구소는 곧바로 대전지검에 수사를 의뢰했고, 검찰은 압수수색과 참고인 조사 후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현재 A씨는 직무에서 배제된 상태로 알려졌다.

그는 조사 과정에서 “연구소 밖에서도 업무를 이어가기 위해 자료를 옮겼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의원은 “정부와 연구기관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안 체계를 전면 점검하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카이스트 측은 투데이코리아에 “현재 검찰에서 조사 중인 건이라 구체적인 입장은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